코딩Puri의 코딩풀이
2. EC2(2) 본문
반응형
EC2와 AWS VPC 구성요소
EC2와 다른 AWS 서비스들(EBS와 AMI를 배울 것)
📦EBS(Elastic Block Store)
- EC2에 사용할 영구 블록 스토리지 볼륨
- 각 볼륨은 가용 영역 내에 자동으로 복제되어 구성요소 장애로부터 보호해 줌, 고가용성 및 내구성을 제공
- 실행 지연 시간 짧음, 일관된 성능 제공
- 몇 분 내에 사용량을 많게 또는 적게 확장 가능, 프로비저닝한 부분에 대해서만 저렴한 비용 지불
🧨EC2와 EBS의 차이점
- EC2는 메모리, CPU / EBS는 하드디스크
🧨 EBS와 S3의 차이점
- EBS : Block Store, 무언가를 설치할 수 있는 스토리지
- S3 : File Storage, 파일만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
🗄️ EC2는 2가지 종류로 나뉨(EBS, Instance Storage)
- EBS Based : 반 영구적인 저장 가능
- Snapshot 기능, 인스턴스 업그레이드 가능, STOP이 가능함
- Instance Storage : 휘발성이나 빠른 방식
- 빠르지만 저장이 필요없는 경우, Stop이 불가능
⛓️ EBS와 Instance Storage 실행 원리
- EBS : 그래픽 카드, 메모리, CPU와 하드디스크가 나뉘어 있고, 이걸 네트워크로 연결이 된다.
- Instance Storage : 그래픽 카드, 메모리, CPU 안에 하드디스크가 함께 있음
🗒️ AMI(Amazon Machine Image)
- 인스턴스 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
- 동일한 구성 인스턴스 여러 개 생성 ; 한 AMI에서 여러 인스턴스 시작
- 서로 다른 구성의 인스턴스 여러 개 생성 : 다양한 AMI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시작
🎨 AMI의 구성요소
- 1개 이상의 EBS 스냅샷 or 인스턴스 저장 지원 AMI : 인스턴스의 루트 볼륨에 대한 템플릿(예 : 운영체제, 애플리케이션 서버, 애플리케이션)
- AMI를 사용하여 인스턴스를 시작할 수 있는 AWS 계정을 제어하는 시작 권한
- 시작될 때 인스턴스에 연결할 볼륨을 지정하는 블록 디바이스 매핑
🛠️AMI 만드는 과정
- EBS 스냅샷을 찍음 -> S3라는 파일 저장소에 저장함 -> AMI로 등록 시킴 -> EC2를 실행 또는 AMI 복사
- ex> 우리가 100G EBS 이미지를 만든다 -> 여러 파일이 있는데 -> 그 파일들 중 스냅숏 시에 기존에서 바뀐 부분만 저장을 함 -> 파일이 삭제되었다면? -> 삭제된 부분만 스냅숏에 저장됨
🗂️AMI를 통한 Backup/Scale Up 실습
- AMI 만들기
- 현재 EC2의 AMI를 만들어 Backup하기
- 순서 : 인스턴스 선택 후 오른쪽 마우스 클릭 -> 이미지 생성 -> 이미지/AMI 보면 하나가 생성됨(생성되기까지 3분 정도 걸림)
- 새로운 EC2 실행하기
- 기존의 EC2보다 더 좋은 성능의 EC2를 기존의 AMI로 실행하기
- 순서 : 새 인스턴스 생성시 AMI를 나의 AMI에서 만들었던 AMI 선택해서 생성해 줌
- 동작 확인하기
장점
- 백업이 되는 부분, 새로 만든 서버에서도 설정을 해주어야 할 때 초기 설정이 된 상황에서 인스턴스 생성 가능
반응형